문제 설명

하드디스크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컨트롤러를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 0ms 시점에 3ms가 소요되는 A작업 요청 - 1ms 시점에 9ms가 소요되는 B작업 요청 - 2ms 시점에 6ms가 소요되는 C작업 요청

와 같은 요청이 들어왔습니다.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한 번에 하나의 요청만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작업을 요청받은 순서대로 처리하면 다음과 같이 처리 됩니다.

- A: 3ms 시점에 작업 완료 (요청에서 종료까지 : 3ms) - B: 1ms부터 대기하다가, 3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2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1ms) - C: 2ms부터 대기하다가, 12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8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6ms)

이 때 각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은 10ms(= (3 + 11 + 16) / 3)가 됩니다.

하지만 A → C → B 순서대로 처리하면

- A: 3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3ms) - C: 2ms부터 대기하다가, 3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9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7ms) - B: 1ms부터 대기하다가, 9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8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7ms)

이렇게 A → C → B의 순서로 처리하면 각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은 9ms(= (3 + 7 + 17) / 3)가 됩니다.

각 작업에 대해 [작업이 요청되는 시점, 작업의 소요시간]을 담은 2차원 배열 job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을 가장 줄이는 방법으로 처리하면 평균이 얼마가 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단, 소수점 이하의 수는 버립니다)

제한 사항

  • jobs의 길이는 1 이상 500 이하입니다.
  • jobs의 각 행은 하나의 작업에 대한 [작업이 요청되는 시점, 작업의 소요시간] 입니다.
  • 각 작업에 대해 작업이 요청되는 시간은 0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각 작업에 대해 작업의 소요시간은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하드디스크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먼저 요청이 들어온 작업부터 처리합니다.

입출력 예

jobsreturn

[[0, 3], [1, 9], [2, 6]] 9

입출력 예 설명

문제에 주어진 예와 같습니다.

  • 0ms 시점에 3ms 걸리는 작업 요청이 들어옵니다.
  • 1ms 시점에 9ms 걸리는 작업 요청이 들어옵니다.
  • 2ms 시점에 6ms 걸리는 작업 요청이 들어옵니다.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jobs) {
			// 0:시작시간 1:작업시간
			int answer = 0;

			LinkedList<Job> list = new LinkedList<Job>();
			// 2번째 sort : 길이 짧은순으로
			PriorityQueue<Job> queue = new PriorityQueue<Job>(new Comparator<Job>() {

				@Override
				public int compare(Job o1, Job o2) {
					return o1.len - o2.len;
				}

			});

			for (int i = 0; i < jobs.length; i++) {
				list.add(new Job(jobs[i][0], jobs[i][1]));
			}

			// 1번째 sort : 시작시간 빠른순으로(현재상태에서 작업가능한 작업순)
			Collections.sort(list, new Comparator<Job>() {
				@Override
				public int compare(Job o1, Job o2) {
					return o1.start - o2.start;
				}
			});

			// 완료된 원소 수 
			int count = 0;
			// 현재 시간
			int time = 0;

			// 원소 다 뽑을 때 까지
			while (count < jobs.length) {
// 직전 작업이 끝난 상태에서, 해당 작업이 시작가능한 상태인 원소 다 꺼냄
				while (!list.isEmpty() && list.peek().start <= time) {
					queue.add(list.poll());
				}

				// 만족하는 원소 중에서 두번째 sort 시작
				if (!queue.isEmpty()) {
					Job job = queue.poll();
					time += job.len;
					answer += (time - job.start);
					count++;
					// 만족하는 원소 없을경우, 시간만 1초씩 경과
				} else {
					time++;
				}
			}

			return (answer / count);
		}
	}

	class Job {

		int start;
		int len;

		Job(int start, int len) {
			this.start = start;
			this.len = len;
		}


	}

먼저 코드를 짜기전에 생각을 해보자면 먼저 현재시간보다 요청시간이 작은경우로 거르고, 그 후에는 작업시간이 짧은 작업이 먼저 진행되게 해야한다.

작업객체들을 담기 위해 Job클래스를 만들고 멤버변수로 start(해당 작업 요청시간), len(해당 작업 작업시간)을 선언한다. 이후 List에 각 작업들을 담고, 작업요청시간이 작은 순으로 담는다.

그래서 List에 모든 요소를 넣은 후 첫번째 sort로 요청시간이 작은 경우로 거른다. 그 후 이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요소를 우선순위큐에 넣는다. 우선순위큐에는 두번째 sort로 작업시간이 짧은 순으로 넣게된다.


우선순위큐에 parameter로 Comparator을 넣을 수 있다.

임의의 클래스를 받은 큐에서 queue.poll()로 해당 요소를 꺼낼 시, 따로 객체로 받을 경우(위의 Job job = queue.poll()) 활용성이 늘어나게 된다.

+ Recent posts